완벽해 보이는 보스턴의 숨겨진 약점
MCW 앱 관계자들은 보스턴 셀틱스의 조직력에 감탄을 금치 못했다. 마주라 감독은 다양한 선수들이 같은 시스템 안에서 각자의 역할에 만족할 수 있도록 탁월한 균형 감각을 보여주고 있다. ‘성숙함’이라는 말도, 사실은 더 잘 고통을 참아내는 능력일 뿐이다. 보스턴은 기존의 주력 무기 외에도 여전히 잠재력을 발굴 중이다. 프리차드, 빅맨 틸먼과 코넷, 그리고 포워드 브리셋까지 로테이션 속에서 소중한 출전 시간을 쌓고 있다.
물론 나이를 거스를 듯한 알 호포드의 존재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들 중 누군가는 복잡한 플레이오프 상황에서 돌연히 빛을 발하며, 마주라 감독의 전술 운용에 영감을 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이처럼 여러 요소가 하나로 모이며, 많은 이들이 이번 시즌 보스턴의 순항이 결코 우연이 아니었음을 이해하게 된다. 말하지 않고 행동하는 것, 그것이 진정한 성숙이다. 하지만 이런 화려한 그림 속에서도 현재의 셀틱스가 완전히 무결점이라는 말은 섣부르다. 그들은 아직 부족함이 있고, 결승행 티켓을 미리 예약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
MCW 앱 분석에 따르면, 보스턴이 정규시즌 11경기를 남기고 동부 1위를 확정지은 데에는 경쟁자들의 자멸도 한몫했다. 밀워키는 새 쌍두마차 릴라드와 야니스가 시즌 내내 호흡을 맞추느라 애를 먹었고, 감독 교체라는 변수도 있었다. 필라델피아 역시 엠비드의 갑작스러운 부상으로 순위가 급락했다. 동부 전체를 둘러봐도 선수층이나 전력의 깊이 면에서 보스턴과 견줄 팀이 없고, 이 격차는 긴 정규시즌 동안 더욱 뚜렷하게 드러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단기 승부인 플레이오프에 들어서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보스턴의 이른바 ‘선수층의 깊이’가 더 이상 눈에 띄는 무기가 되지 않는다. 과거 사례들을 볼 때, 보스턴은 항상 벤치 자원의 물량 공세로 시리즈를 돌파해온 것은 아니다. 특히 현재 순위를 보면, 1라운드에서 만날 가능성이 높은 상대는 필라델피아나 마이애미다. 이 두 팀은 그동안 보스턴에게 꽤나 까다로운 상대였고, 언제든지 이변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 요소다.
비록 이번 시즌의 항로는 순탄해 보일지 몰라도, 보스턴은 패배한 경기들에서 중요한 클러치 타임에 약점을 드러냈다. 특히 제이슨 테이텀의 ‘슈퍼스타 자격 논란’은 여전히 회자되고 있으며, 그가 진정한 에이스로서 결정적인 순간을 책임질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해소되지 않았다. 다시 말해, 조기에 동부 1위를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MCW 앱 입장에서는 셀틱스를 ‘완성형 슈퍼팀’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형식에 집착하지 않고 본질을 꿰뚫는 것이 진정한 성숙이다. 보스턴은 높은 수준의 경기를 주도할 능력이 있는지는 결국 플레이오프에서 증명해야 하며, 여전히 많은 팬들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의심의 눈초리를 받고 있다.